Community
소식
[RISTI 활동소식] 국제 원자력 협력의 중심에서 SDGs를 논하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7-17 07:01
조회
65
[RISTI 활동소식]
국제 원자력 협력의 중심에서 SDGs를 논하다 — RISTI 이우성 대표, 제6차 원자력 국제협력 웨비나 좌장으로 참여


한국원자력협력재단 '제 6차 원자력 국제협력 웨비나' 영상 캡처 및 소개 포스터
RISTI는 2023년 1월, '한국원자력협력재단(KONICOF)'이 주최한 「제6차 원자력 국제협력 웨비나」에서 이우성 대표가 좌장으로 참여하여, 방사선 및 원자력 기술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 기여 방안에 대한 종합토론을 주도했습니다.이번 웨비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아시아·태평양국 Jane Gerardo-Abaya 국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동남아 주요국의 원자력 비발전 기술 활용 사례가 SDGs 목표별로 발표되었으며, 과학기술 기반의 국제협력 확대를 위한 인사이트가 공유되었습니다.
웨비나 주요 내용
- 기조연설
'SDGs 달성을 위한 원자력 과학기술의 기여'
- 4개 세션 발표
▪ 기아 종식과 농업 (방글라데시)
▪ 건강과 웰빙 (베트남)
▪ 물과 위생 (인도네시아)
▪ 기후변화 대응 (필리핀)
- 종합토론 좌장: 이우성 대표 (RISTI)
SDGs 연계 시사점 정리 및 국제협력 방향 제안
RISTI의 원자력 국제협력 전문성과 주요 연구성과
① 2022년 한국원자력협력재단(KONICOF) 과제RISTI는 ‘신남방 5개국 협력 수요 및 한국의 비교우위 분석을 통한 원자력 비발전 국제협력 확대방안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과제에서는 동남아 5개국(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을 대상으로, 각국의 비발전 원자력 기술(의료, 농업, 수자원 등) 활용 현황과 정책 구조를 분석하고, 한국의 비교우위와 협력 가능 분야를 정리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양자·다자간 협력 전략, 기술이전 및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중점 협력 분야를 제안하며 정책적‧실무적 협력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② 2024년 RCARO(아태원자력협력협정 사무국) 과제
2024년에는 RCARO의 의뢰로 ‘한-아태 원자력 협력 전략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회원국의 원자력 정책, 기술 역량, 산업 및 시장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협력 수요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기술 협력분야 도출을 목표로 했습니다.
RISTI는 기술‧정책‧시장‧산업 측면에서 통합적인 SWOT 분석을 실시해 7개 중점 협력국을 선정하고, 각국의 요구에 부합하는 협력모델과 거버넌스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본 과제를 통해 한국이 아태 지역 원자력 비발전 협력의 전략적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RISTI는 원자력 발전,비발전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정책연계, 협력모델 개발, 수요 기반 전략 기획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